본문 바로가기

좋아하는 드라마&배우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에 대하여. feat. 더데이즈

728x90
반응형

넷플릭스는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파사고

에 대한 드라마로 23년  6월 1일 더데이즈를 개봉했습니다. 

 

총 8부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개봉되지 않았습니다. 

 

드라마의 전체적인 내용은 2013년 숨진 요시다 마사오 소장의 요시다 조서와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원자력 사고 보고서, 저널리스트 카도타 류조의 저서 '죽음의 문턱을 본 남자'를 바탕으로 당시 현장에 있었던 인원들의 가능한 충실하게 재현하려 하였고 디테일과 캐릭터 일부를 각색하여 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넷플릭스-더데이즈-공식-예고편
넷플릭스 공식예고편 유튜브 화면 캡쳐

https://youtu.be/DXnGreBPcZI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사고에 대하여.

 

2011년 3월 11일일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지진과 이에 따른 쓰나미로 인해 발전소의 배수펌프와 발전소 내부의 발전기 등 여러 시설이 파괴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대량의 물이 핵 반응로를 불시착하여 이를 냉각하는데 필요한 가용수 공급이 중단되어 증기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상황이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발전소 내부의 가스에 의해 발생한 폭발력으로 구조물이 파괴되고, 원자로 내부에 있는 연료봉의 수소와 수산화물 등이 폭발할 경우 방사능이 노출된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졌고, 지역 주민들은 대피하게 되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에도 방사선 노출과 폭발, 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 등으로 일본 정부와 발전소 운영자인 도쿄전력의 대처 방식에 대한 지적과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대기 오염으로 인한 영향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인명과 환경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관료주의, 정부인사와 토오전력의 유착관계가 늦장대응과 원전폭발이라는 상상할 수 없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더 데이즈 결말

더데이즈에 나오는 최종화의 대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원자력발전소는 해체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직도 30~4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아직도 손대지 못하고 있는 핵 원료가 원자로 안에 남아있습니다. 
고열을 내뿜는 핵원료는 스스로를 녹이는 동시에 원자로 그 자체를 녹이고 혼합되어 원자로 하부에 퇴적되었습니다.
폐연료라고 알려진 방사성 물질의 총량은 수백 톤. 

사람은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무시무시한 방사선은 로봇으로 안을 들여다보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추정되는 방사선량은 시간당 70SV. mSV가 아니다.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경우 폭심지에서 1.5KM 지점의 방사선량이 1SV입니다. 
2호기의 격납 용기 내에 1시간을 머무른다면 그 70배에 달하는 방사선을 쐬게 되는 셈입니다. 

폐로 작업은 언제 끝날지 아직 모른다고 합니다.

후쿠시마현 하마도리에 살던 주민들은 11만 7천 명이 이주를 했고 수만 개의 집이 빈 집이 되었습니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위치와 현재상태

 

후쿠시마-원자력발전소-위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위성사진으로 본 위치.
후쿠시마-제1-원자력발전소-현재상태
구글 위성사진을 통해서 확인한 제1호기 폭발한 상태.


국제 원자력 사고 등급

국제-원자력-사고-등급
출처: 위키백과

 

사건 규모에 따라, 가장 낮은 1등급(anomaly)부터 심각한 사고인 7등급(major accident, 대형사고)으로 분류한다. 등급 4~7 범주를 ‘사고(accident)’, 등급 1~3 범주를 ‘고장(incident)’으로 분류한다. 또한 이들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인 원자력안전과 무관한 사건(예를 들어 2차 측 기기고장에 따른 터빈정지에 의한 원자로정지 등)은 ‘0’ 등급(no safety significance)으로 분류한다.

 

체르노빌 4호기 폭발사고 이후 전 세계에서 2번째로 7등급으로 선정된 것이 바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이다.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

 

과연 한국에는 몇 대의 원자력 발전소가 있고 어디에 있을까?라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들 텐데요. 

 

1. 한국수력원자력발전(주) https://www.khnp.co.kr/main/index.do

 

회사소개, 정보공개, 원자력, ESG경영, 한수원채용, 기업홍보, 참여마당

회사소개, 정보공개, 원자력, ESG경영, 한수원채용, 기업홍보, 참여마당 페이지 입니다.

www.khnp.co.kr

2. 열린원전운영정보 https://npp.khnp.co.kr/index.khnp

 

열린원전운영정보 - 한국수력원자력

열린원전운영정보

npp.khnp.co.kr

위 2곳의 사이트에서 자세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원자력발전소-위치
한국 원자력 발전소 위치

한국에는 총 5개의 원자력 발전소가 있으며, 전라남도 1곳, 경상북도 2곳, 울산 1곳, 부산 1입니다. 

한국-원자력발전소-운영-현황
한국 원자력 발전소 운영 현황

지금 보이는 사진과 같이 실시간 상황을 자세하게 공유하고 있어서 일반인들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일본의 사고가 비록 쓰나미가 원인이었다고 하나, 대한민국도 자연재해로부터 100% 안전하다고 할 순 없겠죠.

 

지난 과거의 사고를 반면교사를 삼아 한국에서는 절대 사고가 일어나지 않길 기원하겠습니다.

 

728x90